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어제 이재명 대표의 검찰 조사를 두고 오늘까지도 여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아는기자, 검찰 출입하는 박건영 기자와 함께합니다. <br><br>Q1. 박 기자, 조사가 끝났는데도 검찰과 이 대표 측이 서로에게 조사 지연 책임을 묻고 있다고요? <br> <br>A1. 조사를 받고 나온 이재명 대표가 직접 이 문제를 제기한 건데요.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(어제)] <br>"제가 낸 진술서 단어의 의미나 문장의 해석 이런 것으로 절반의 시간을 보냈고…왜 다시 불렀나 의심이 될 정도였습니다." <br><br>검찰은 조사 지연 책임은 오히려 이 대표 측에 있다고 반박하고 있죠. <br> <br>200쪽 넘게 질문을 준비했더니, 이 대표가 오전 11시 반쯤에나 출석을 했고 통상적인 질문에도 수차례 이의를 제기해 조사를 늦췄다는 겁니다. <br><br>Q2. 그러니까 사실상 진술을 거부한 이 대표 측에서 되레 검찰의 질문 태도를 지적한 건데, 실제로 검찰의 질문이 이전과 달라진 게 있습니까? <br> <br>A2. 지난달 28일 이 대표를 조사한 검찰이 어제는 '질문 전략'을 다소 바꾼 걸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이재명 대표는 지난번 조사 때 33쪽 분량의 진술서를 냈죠. <br><br>검찰은 이 진술서를 분석해 진술서에서 언급 안 한 내용이나 진술서에 있어도 검찰이 파악한 사실관계와 배치되는 내용. <br> <br>또 진술서 문구 중에서도 그 구체적 의미를 묻는 질문으로 여럿 준비한 걸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진술서에 없는 대표적인 게 김용, 정진상 등 측근 관련 내용이나 천화동인 1호 수익 428억 원 약정설 같은 내용이죠. <br> <br>이재명 대표가 과거 언론이나 공식 석상에서 한 발언 중에도 진술서와 배치되는 부분이 있으면, 어느 쪽이 이 대표의 입장인지 등을 물은 걸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검찰이 기존 진술서로 답변을 갈음하기 힘든 질문을 계속 던지자 이 대표 측이 문제를 제기한 걸로 보입니다. <br><br>Q3. 그런데 이 대표가 '진술서로 갈음한다' 이렇게 계속 대응을 한다면. 검찰이 들을 수 있는 대답은 사실 별로 없을 것 같은데, 추가 출석 요구할 것 같습니까? <br> <br>A3. 검찰도 대장동·위례 의혹과 관련해서는 이 대표를 추가로 불러도 의미 있는 진술을 듣기 어렵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 대표 소환 가능성이 있는 다른 사건들이 남아있죠. <br> <br>당장 수원지검이 수사 중인 대북 송금 의혹이 있습니다. <br><br>오늘 쌍방울 그룹 금고지기가 태국에서 송환돼 조사가 시작됐는데요. <br> <br>경기지사 시절 이재명 대표의 방북비용 300만 달러를 쌍방울 그룹이 북한에 대납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경기도정 최고 책임자였던 이 대표 소환 조사가 불가피할 거란 관측도 나오고요. <br> <br>중앙지검이 수사 중인 백현동이나 정자동 개발 의혹도 당장은 아니라도 이 대표 소환 가능성 있습니다. <br><br>Q4. 박 기자, 어제 소환하면서 많이 회자 됐던 게, '회술레' 라는 표현입니다. <br> <br>이 대표가 과거에도 봉고파직, 위리안치같은 조선시대 형벌을 언급했던 게 기억이 납니다. <br> <br>'회술레 같은 수치'라는 말, 박 기자는 들어본 적 있습니까? <br> <br>A4. 저도 처음 듣는 말이라 찾아봤는데요. <br><br>지금 보시는 그림처럼 조선 시대 죄인을 처형하기 전에 등에 북이나 징을 매달게 한 채로 거리를 다니게 하면서 공개 망신을 주는 형벌을 '회술레'라고 불렀다 합니다. <br><br>이 대표는 검찰이 자신을 포토라인에 반복해 서게 해 망신을 주고 있다는 취지로 이 말을 꺼낸 건데요. <br> <br>검찰은 동의하기 어렵단 입장입니다. <br><br>이 대표가 검찰에 비공개 출석을 요구했다면, 조처를 해줬을 텐데 그런 요구도 없이 회술레라고 하는 건 사실과 다르다는 겁니다. <br><br>검찰은 앞서 정진상 실장 소환 조사 때 비공개 출석을 요구하자 언론 노출이 없는 중앙지검 지하 주차장으로 바로 입장할 수 있게 해줬다고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Q5. 1년 넘게 이어져 온 대장동 사건, 이제 끝을 향해 가는 걸까요?<br> <br>A5.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 검토가 본격화됐는데요. <br> <br>성남지청이 조사를 마친 성남FC 후원금 사건을 이송받아서 서울중앙지검에서 대장동·위례 의혹과 함께 구속영장을 일괄 청구하는 방안이 유력해 보입니다.<br /><br /><br />박건영 기자 change@ichannela.com